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트로오돈(ARK: Survival Evolved)|트로오돈]] (Troodon) ==== [anchor(트로오돈)] ||<#ffffff><-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800px-Troodon_Dossier.jpg|width=550px]] ||<-4><#ffffff><nopad> [[파일:troodon.png|width=300px]] || ||<#dddddd><-4> '''도감''' ||<#dddddd><-4> '''게임 내 모델''' || ||||||||||||||<bgcolor=#505050> '''{{{+1 {{{#ffffff 트로오돈 }}}}}}''' '''{{{#ffffff Troodon | ''Troodon magnanimus'' }}}'''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Troodon.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평화 조련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불가능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불가능 || || 조련된 생물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200 || +40 || +5.4% || +0.07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150 || +15 || +10%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15 || +10%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200 || +20 || +10%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140 || +2.8 || +4%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7 || +0.5 || +1.7%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180 || +10.8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480 || '''960'''[* 약 9.6m/s] || '''960''' ||<-2> +1% || +20% || ||<#dddddd> '''수중''' || 300|| - || - ||<-2> - ||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Troodon.png|width=20]] 괴상한 트로오돈 (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스폰 맵'''}}} |||||||||||||| |||||||||||||| 디 아일랜드, 더 센터, 스코치드 어스,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발게로, 크리스탈 아일[br]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드랍 아이템'''}}} |||||||||||||| |||||||||||||| 생고기, 가죽, 범생이 안경 스킨 |||||||||||||| >'''Species''' >Troodon magnanimus > >'''Time''' >Late Cretaceous > >'''Diet''' >Carnivore > >'''Temperament''' >Nocturnally Aggressive > >'''Wild''' >Quite possibly the most intelligent non-human creature on the Island, Troodon magnanimus is an incredibly fast learner. It understands meaningful experiences much faster than other creatures (including humans), and its social nature means it also teaches its packmates, making them smarter too! If Troodon's cleverness didn't make it formidable, then its tactics and biology would. It specifically pack-hunts at night when we are most vulnerable, and sees humans as its primary prey. This audacity is made especially dangerous due to its serrated fangs' poison, which drains stamina from any creature, but outright paralyses humans. Thankfully, Troodon is fairly small. Were it larger, it might well have become the dominant creature of its ecosystem. > >'''Domesticated''' >I thought Troodon simply could not be tamed, until I finally saw a lone survivor with one. She told me that she let "Troody" hunt a few of her tribe's smaller creatures for sport, and it eventually started following her everywhere. It seems that while Troodon is too intelligent to fall for the rote conditioning of "tranq-and-feed," it can instead gradually gain loyalty from a social approach that provides it with the opportunity to hunt. Ever since, I have wondered at the benefits which a pack of ultra-smart, bred-for-battle Troodon may bring to a tribe brave enough to earn the favor of these clever carnivores. >---- >'''[[헬레나 워커]]''' 나무가 울창한 숲이나 레드우드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랩터를 축소시킨 듯한 모습의 소형 수각류 공룡이다. 보기에는 딜로포사우루스와 비슷한 급의 생물로 보이며 낮에는 어느 정도 거리를 두면 구경을 해도 될 정도로 공격적이지 않지만,[* 단, 낮이라도 너무 가까이 가거나 하면 어그로가 끌려버려 거리를 둘 필요가 있다.] 스펙이 생각보다 높은데다 야행성이라서 밤이 되면 어그로 범위가 거의 랩터와 비슷한 수준으로 크게 늘어나며, 후술할 특수 능력 때문에 위험한 편으로 집 주변에 트로오돈이 등장하는 게 확실하다면 되도록 방벽을 쳐두는 것이 좋다. 똑같은 야행성이지만 낮에는 확연히 약화되는 메갈로사우루스와 다르게 트로오돈은 낮에도 멀쩡히 활동하며, 밤에 공격성과 스펙이 상승하는 형태다. 밤에는 눈이 빛나는 관계로 멀리서도 쉽게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지만 어그로 범위가 무지막지하게 올라가서 절대 가까이 가면 안된다. 낮에는 발동되지 않던 무리 버프도 밤에 발현되어 낮에 상대할 때보다 더 높아진 능력치[* 해당 문단에서 설명하고 있는 '능력치 상승' 은 이 무리 버프로 인한 것으로, 딱히 스탯 수치 자체에 변동이 온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의 트로오돈 떼를 상대하게 된다. 다만 콤피처럼 거의 무한정 늘어나지는 않고 +4가 한계인 점은 그나마 다행이나, 이미 무리 버프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강화된 채로 각 개체를 상대해야 하기에 초반 생존자 입장에서는 그렇게 체감되는 한계는 아니다. ---- 공격력 수치 자체로 따지면 전체 생물 중에선 높은 편이 아니지만 도약 공격으로 거리를 빠르게 좁히고,[* 사마귀의 도약 사거리의 4분의 1정도이다.] 트로오돈에게 공격받으면 '''입힌 대미지의 2배에 해당하는 기력 피해를 4초 동안 입히며''', 플레이어의 경우 추가로 기절 수치까지 올리는 트로오돈 독 디버프를 건다. 해당 공격으로 인해 생각보다 기절이 많이 차기 때문에 인내에 투자하고 튼튼한 방어구를 입지 않았다면 두세번 물리자마자 기절하고, 겨우 따돌리는 데 성공했어도 한 번 물려서 쌓이는 기절 수치 때문에 드러눕는 광경도 볼 수 있다.[* 아크의 다른 생물들과 달리 플레이어, 즉 인간은 인내 스탯을 올리지 않았을 경우 기절 수치가 200만큼 다 차지 않아도 50이상 오르면 바로 기절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 다만 이는 맨몸으로 싸우는 초반 생존자 한정으로, 어디까지나 소형 생물인지라 능력치는 강한 편이 아니며, 넉백도 많이 받기 때문에 중 ~ 고레벨의 탑승 가능한 생물을 길들여서 싸운다면 트로오돈 무리가 덤비더라도 충분히 이길 수 있기에 이런저런 공룡을 많이 길들이기 시작할 때부터는 귀찮은 잡몹 중 하나로 변하게 된다. ---- 제네시스 2와 피오르두르가 출시된 현재 기준으로도 길들이는 방식이 상당히 특이한 생물 중 하나로, 기절시키는 방식은 설정상 머리가 너무 좋아서 안 먹히고[* 실제 트로오돈 역시 화석을 통한 분석으로 다른 공룡에 비해 뇌가 커 지능이 좋았을 것이라 추측된 적이 있다. 물론 현재는 [[트로오돈]]이라는 생물 자체가 의문명 처리이기에 의미없는 사항.] 근접해서 먹이를 주기에는 너무 공격적이기에 '''길들여진 생물을 트로오돈과 싸우게 하면서, 길들인 생물이 트로오돈에게 죽어줘야 한다.''' 정확히는 반격을 포함해서 서로 공격해야 하며, 그냥 조련된 생물을 저항안함 상태로 세워두기만 하면 죽이더라도 조련 수치가 오르지 않는다. 대신 미리 체력을 빼놓고 '''기절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즉, 트로오돈이 상대도 안되는 생물의 경우 반격으로 설정해 둔 후 기절시키고 트로오돈이 죽이게끔 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트로오돈의 조련 진행률은 플레이어가 던져준 생물이 주는 경험치에 따라 달라진다. 별 특이한 것 없이 일반적으로 사냥해서 경험치를 더 많이 주는 생물을 잡으면 조련 진행률이 더 빨리 올라가는 것. '조련율을 빨리 올리는 생물' 의 기준은 당연히 생물의 종류와 레벨, 생물을 죽였을 때 주는 경험치로 결정된다.[* 물론 기가노토나 와이번처럼 강함과 직관적으로 연결되는 생물들도 있으나 주는 경험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크기에 브루드마더 라이스릭스, 메가 맥 등 강하지만 일반적으로 트로오돈에게 줄 수 없는 생물들이나, 겉보기에 커다란 생물들이지만 적게 경험치가 들어와 많이 줘야 하는 경우가 있다.] 각 생물별 조련 효율은 다음과 같다. ||<-7><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505050><#505050> '''{{{#White 트로오돈의 조련 효율}}}''' || ||<#818181> ||<-6><#818181> '''필요한 생물의 레벨 및 마릿수''' || ||<rowbgcolor=#dddddd><colbgcolor=#dddddd><#818181> '''희생 생물종''' || 5레벨 || 25레벨 || 50레벨 || 75레벨 || 100레벨 || '''150레벨''' || || '''[[기가노토사우루스(ARK: Survival Evolved)|기가노토사우루스]]''' || 1레벨 (x1) || 3레벨 (x1) || 11레벨 (x1) || 19레벨 (x1) || 27레벨 (x1) || 43레벨 (x1) || || [[와이번(ARK: Survival Evolved)|와이번]][* [[크리스탈 와이번]], [[마그마사우루스]]와 동일] || 1레벨 (x1) || 11레벨 (x1) || 24레벨 (x1) || 38레벨 (x1) || 51레벨 (x1) || 78레벨 (x1) || || 스피노 || 8레벨 (x1) || 30레벨 (x1) || 57레벨 (x1) || 84레벨 (x1) || 110레벨 (x1) || 164레벨 (x1) || || [[바위정령]] || 12레벨 (x1) || 37레벨 (x1) || 70레벨 (x1) || 102레벨 (x1) || 134레벨 (x1) || 199레벨 (x1) || || [[렉스(ARK: Survival Evolved)|렉스]] || 25레벨 (x1) || 68레벨 (x1) || 122레벨 (x1) || 176레벨 (x1) || 110레벨 (x2) || 164레벨 (x2) || || 메갈로사우루스 || 32레벨 (x1) || 83레벨 (x1) || 148레벨 (x1) || 102레벨 (x2) || 134레벨 (x2) || 199레벨 (x2) || || 브론토사우루스 || 37레벨 (x1) || 96레벨 (x1) || 169레벨 (x1) || 117레벨 (x2) || 154레벨 (x2) || 148레벨 (x3) || || 기간토피테쿠스 || 42레벨 (x1) || 106레벨 (x1) || 187레벨 (x1) || 130레벨 (x2) || 170레벨 (x2) || 164레벨 (x3) || || 중대형 생물[*목록1 알로사우루스 / 카르노타우루스 / 케찰 / 테리지노사우루스] || 48레벨 (x1) || 119레벨 (x1) || 100레벨 (x2) || 145레벨 (x2) || 190레벨 (x2) ||<#dddddd> || || 파라케라테리움 || 76레벨 (x1) || 183레벨 (x1) || 154레벨 (x2) || 145레벨 (x3) || 190레벨 (x3) ||<#dddddd> || || 매머드 || 118레벨 (x1) || 135레벨 (x2) || 154레벨 (x3) ||<-3><#dddddd> || || 중형 생물[*목록2 아르젠타비스 / 도에디쿠루스] || 136레벨 (x1) || 156레벨 (x2) || 178레벨 (x3) ||<-3><#dddddd> || || 중소형 생물[*목록3 안킬로사우루스 / 칼리코테리움 / 다이어울프 / 모스콥스 / 펄모노스콜피어스 / 가시 드래곤] || 160레벨 (x1) || 183레벨 (x2) || 154레벨 (x4) ||<-3><#dddddd> || || 중소형 생물[*목록4 카프로수쿠스 / 검치호 / 사르코 / 스테고사우루스] || 193레벨 (x1) || 145레벨 (x3) || 187레벨 (x4) ||<-3><#dddddd> || || 중형 생물[*목록5 아트로플레우라 / 카스토로이데스 / 디메트로돈 / 다이어 베어 / 메갈로케로스 / 모렐라톱스] || 118레벨 (x2) || 183레벨 (x3) || 187레벨 (x5) ||<-3><#dddddd> || || 소형 생물[*목록6 매미 나방 / 오니크 / 펠라고르니스 / 프테라노돈 / [[랩터(ARK: Survival Evolved)|랩터]] / 타페자라 / 독수리] || 160레벨 (x2) || 183레벨 (x4) ||<-4><#dddddd> || || 소형 생물[*목록7 아카티나 / 아라네오 / 벨제부포 / 카르보네미스 / 디몰포돈 / 디플로카울루스] || 159레벨 (x3) ||<-5><#dddddd> || || 소형 생물[*목록8 딜로포사우루스 / 쇠똥구리 / 갈리미무스 / 파라사우롤로푸스 / 피오미아 / 트로오돈] ||<-6><#dddddd> || || 소형 생물[*목록9 시조새 / 콤피 / 도도 / 카이루쿠 / 캥거루 쥐 / 리스트로사우루스 / 페고매스탁스 / 시노마크롭스] ||<-6><#dddddd> || || '''필요 경험치(밤 기준)''' || 202 || 460 || 782 || 1,105 || 1,427 || 2,072 || [[https://www.dododex.com/taming/troodon|도도덱스 조련 계산기]]. 해당 페이지에서 모든 생물별로 들어오는 조련 효율을 볼 수 있다. [[로스트 아일랜드]] 출시 기준 가장 조련율을 많이 높이는 생물은 티타노사우루스. ---- 길들여진 트로오돈은 탐색(Scout)이라는 특수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주변의 시체와 가방, 야생동물, 플레이어 또는 플레이어와 길들여진 생물, 함정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지속 능력이 아니라 60초의 쿨타임이 있고, 대략 5초에서 10초 정도 유지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할 수는 없다. 효과 자체로만 보면 괜찮지만 사용하려면 귀찮게 트로오돈 전용 메뉴를 열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해당 능력은 레벨로 스탯에 포인트를 넣는 대신에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탐색 범위를 늘리거나 쿨타임을 줄여주는 업그레이드로, 트로오돈을 조련할 정도라면 남아도는 생물들을 던져줄 정도로 발전한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보통은 업그레이드에 스텟을 투자하는 편이다. 다만 형편 없는 스탯, 번거롭고 쿨타임이 너무 긴 능력에 비해 테이밍 재료는 너무 많이 들어가서 거들떠도 보지 않는 생물 중 하나가 되었다. 그보다는 랩터, 카르노와 같은 초반 방해꾼, 가끔 랙이나 페이탈 등으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방심한 유저를 드러눕게 만드는 이미지가 더 강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